기타11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489030) 저는 앞에서 말씀드린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489030)을 매월 50만 원씩 적립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 및 결과를 이 페이지에서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상품을 다른 것으로 갈아탈 경우 같이 설명할 예정이오니 지금 이 글을보고 계신다면 어서 가서 절세 및 연금 상품에 가입해서따라 하시면됩니다. https://invest4child.tistory.com/168 교보증권이 앱에서 화면 캡쳐를 막아놔서 화면을 직접 촬영했더니 선명하지 못하네요;; 주식에서의 '배당금'을 ETF(펀드)에서는 '분배금'이라고 표현합니다. 2025. 4. 18. 연금개혁-_- (feat. 이효석 & 홍춘욱) [연금개혁안]1. 현재 우리나라는 대통령 탄핵 이슈로 여야의 정치적 대립이 극에 달하고 있음 2. 이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통과된 법안이 있는데 바로 연금개혁안임 3. 그 내용은 내는 돈(보험료율)과 받는 돈(소득대체율)을 각각 9%→13%, 40%→43%로 올리겠다는 것임4. 문제는 보험료율(내는 돈)은 0.5%씩 8년에 걸쳐서 올리기로 함. 그런데 소득대체율(받는 돈)은 바로 내년부터 한 번에 43% 인상됨 5. 현재 연금을 수령하는 연령대는 60년대 중반 출생자들임. 내년부터 바로 43%로 인상된 연금을 받게 되는데 다수의 국회위원들 나이가 이에 해당함 6. 그들은 납입은 적게 했지만 인상된 연금으로 내년부터 당장 꿀 빠는 상황이 될 예정임 7. 게다가 그 돈은 젊은 층들이 매년 0.5%씩 돈을 더 .. 2025. 3. 26. 노후를 대비합시다. (요약 및 QnA) 내가 노후를 위한 저축 금액이 1년에1. 600만 원 이하일 경우 연금저축 하나만 개설2. 900만 원 이하일 경우 연금저축, IRP 두가지를 개설3. 1900만 원 이하일 경우 연금저축, IRP, ISA를 모두 개설4. 3년마다 ISA 계좌를 해지하고 그 돈을 연금저축 계좌로 이체 ※ 단, 55살까지 돈이 묶이는 게 싫으면 ISA 계좌만 개설 후 연간 1,000만 원 이내로 저축5. 연금저축계좌(또는 IRP, ISA) 개설 후 ETF매매를 할 수 있도록 설정 (ETF 매매가 안되면 거래하는 증권사에 전화해서 매매 하는 방법을 물어봄)6. 매월 정해진 날에 489030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을 꾸준히 매수 (월 1회) 예시) 매월 급여날에 30만 원씩 489030을 매수 (세액 공제는 .. 2025. 3. 25. 노후를 대비합시다.(3편) feat. ETF 그럼 연금저축계좌에서 ETF를 사야 합니다. 여유 자금이 많아서 IRP와 ISA까지 추가 개설 했더라도 계좌에 돈을 넣고 아래에 소개된 ETF를 골라 매수를 하면 되겠습니다. ETF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에서 실시간으로 거래가 되고 6자리 종목 코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의 종목 코드는 005930이고 KODEX 200의 종목코드는 069500입니다. 그러니까 오늘이... 2025년 3월 10일인데,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ETF의 개수가 무려 168개입니다. 이렇게 많으니 어떤 것을 살야 할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일단 배당을 주는 ETF를 찾아야 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월 배당을 주는 ETF들이 제법 많아졌습니다. 혹은 분기 배당을 주는 ETF도 매수 후보군으로 두겠습니다. 우선 월간배당.. 2025. 3. 10. 노후를 대비합시다 (2편) 자신이 쓰고 있는 증권사 핸드폰 앱(MTS)을 켜고 연금저축으로 검색하면 메뉴가 많이 나옵니다. 그중에 연금저축 계좌개설을 골라서 은행계좌 만들듯이 만들면 됩니다. 어느 증권사에서 만들어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보험사에서 연금저축 계좌를 만드는 것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매매할 수 있는 상품이 증권사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저는 교보증권을 사용하고 있는데 증권사 별로도 매매가능한 상품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 원입니다. 내가 월 10만 원을 납입한다고 해도 계좌 개설 시에는 그냥 1,800만 원(최대 납입한도)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연금저축 계좌는 주식에서 배당을 받을때 발생하는 소득세 15.4%가 면제 됩니다. (이건 장기로 갈 수록 엄청난 효과.. 2025. 3. 10. 노후를 대비합시다. (1편) 작성 취지 : 이것저것 다 설명하니 대다수의 사람들이 선택을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됨. 그래서 무작정 따라 하기 방식으로 설명하기로 함. 1.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연금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2. 정부에서는 노후를 위한 저축을 유도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주는 상품을 만듦 3. 대표적인 상품 3가지는 연금저축 / IRP / ISA임 - 연금저축과 IRP는 5년 이상 가입 시 만 55세 이후로 연금 수령 가능(즉 그때까지 돈이 묶임) - ISA는 3년 이상 가입을 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돈 묶이기 싫으면 이것만 하면 됨) 4. 연금저축, IRP, ISA 합산 연간 납입 한도는 총 3,800만 원임. 하지만 1년에 3,800만 원을 저축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고 저축을 하.. 2025. 3. 7. 14년간의 (주식) 펀드매니저 생활의 기록 * 년간 회전율 약 200~300%, 시가총액 1조 이상 주식 비중 70~80%, 1조 미만 주식 비중 약 20~30% 2025. 3. 7. REITs(리츠)에 관한 몇가지 2022. 12. 26. 글로벌 전기차 플랫폼 비교 2022. 11. 17. 반도체 패키징 기술 2022. 8. 23. 코스피 구하기 https://www.savekospi.com/ ✋세이브코스피 - SAVE KOSPI 프로젝트 목표 www.savekospi.com 향후 기타 게시판 활용에 대한 방법을 차차 생각해 보겠습니다. 2022. 2.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