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들을 위한 기초상식55 2024 금융업종 밸류업 (feat. LS투자증권) 밸류업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자 LS투자증권의 전배승 위원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2024년 화두는 단연 밸류업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지독하게 낮은 한국 시장의 밸류를 정상화시키기 위해 과거 일본이 시행했었던 밸류업 정책을 밴치마크하여 추진하였습니다. 그 결과 올 한 해 밸류업 기업들의 주식이 많은 상승을 하였고 그중 대표적인 것이 금융업 회사들의 주가 상승이었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 4대 은행의 총주주환원율이 과거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여기서 자사주 매입액은 대부분 소각된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그렇다면 해외 글로벌 금융회사들과 비교했을 때는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글로벌 기업들 대비로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니 주주로서 투자 매력도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 2024. 12. 15. 쌍용C&E(003410) 드디어(?) 자진상폐 쌍용C&E를 처음 매수한 날은 21년 2월 2일이었습니다. https://invest4child.tistory.com/21 당시에는 사명이 쌍용양회였고 코스피 주가지수는 3096.8pt 였습니다. 당시에도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매 분기마다 배당을 주고 있는 회사였고, 이후 주가 하락이 있을 때마다 꾸준히 매수를 하였습니다. 2024년 1Q에 쌍용C&E는 자진상폐를 하기로 결정하였고 주식시장 공개 매수 가격은 7,000원으로 현재 매도 가격은 6,950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그동안 수익이 어땠는지 계산해 보겠습니다. 현재 보유중인 주식의 평균단가는 6,460원이고 매도를 하게 되면 6,950원에 가능합니다. 총 보유 수량이 80주 이기 때문에 매매 차익으로 39,200원 수익실현이 가능하고 그.. 2024. 2. 20. KT&G(033780) 시즌 2 시즌 1은 2년 전 https://invest4child.tistory.com/55 에 기록하였습니다. 당시 기대 수익률은 [21년 배당금 6% + 22년 배당금 6% + 주가 상승률 30% = 약 40% 이상]의 수익이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경기가 하락하면서 소비재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고 KT&G의 주가도 30%가 아닌 6%만 상승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40% 이상의 수익을 기대하였으나 약 20%에 근접한 투자 수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하지만 동일 기간에 코스피 주가지수는 -20%가량 하락한 것을 감안하면 아주 나쁜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오늘 2차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21년 주주환원 정책과 내용은 유사한데 자사주 소각이 추가 되었습니다. 3년간 무려 15%이고 연간 .. 2023. 11. 13. 이만년 저평가 아세아제지(002310) 회사 이름에서 느끼는 것처럼 제지 산업은 성장산업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세아제지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아세아제지의 현주소는 매출 1조, 영업이익 1,000억, 시가총액 3,500억, 현금 보유 2,100억, 2022년 PER 3.7배.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수익률 2.5% 수준. 저축은행 예금이 더 수익률이 높은 상황이니 주가가 움직일 리가 없습니다. 그런데!!! 대한민국 주식시장 역사상 이렇게 강력한 주주 환원책이 나온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의 정책입니다. 1. 배당을 살펴보겠습니다. '22년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650억입니다. 그중 배당금 총액이 약 89억으로 배당성향은 14%에 채 미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23년부터 25%로 80%나 상향이 됩니.. 2023. 7. 18. 자사주(treasury stock) feat. 현대차증권 자사주의 사전적 의미는 자사가 발한한 주식을 취득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말합니다. 자사주를 취득하는 이유는 대부분 주가 관리 차원입니다. 주가가 지나치게 하락했을 경우 회사에서는 회사 돈으로 주식을 삽니다. 이는 주식 가격이 더 이상 하락하지 못하게 방어하는 역할을 하며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환원책으로 쓰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자사주 취득 이후에 미국과는 다른 한국 기업들의 모습입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자사주를 매각하면 강제로 소각해야 합니다. 또한 뉴욕주 나 델라웨어주는 자사주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소각으로 이어집니다. (참고로 미국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이 소각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80% 이상입니다.) 자사주 소각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겠습니다. 기업의 소유는.. 2023. 7. 12. 한국가스공사(036460) 사상 최고 영업이익을 기록한 한국가스공사 주가가 폭락하고 있습니다. 무슨 일일까요? 한국가스 공사는 해외에서 천연가스를 수입해서 국내 도시가스 및 발전 사업자에게 가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도매업) 주주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정부와, 한국전력, 지자체, 국민연금 등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이 약 63%로 공사답게 정부기관의 지분율이 매우 높습니다. 수입하는 가스 가격이 오르면 당연히 요금이 올라갑니다. 연료비 연동제라는 것이 적용되는데 연료 가격이 즉각 요금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고 1~2개월 시차로 이루어집니다. 문제는 기업을 대상으로 나가는 상업용은 잘 반영이 되지만 민수용은 서민들이 힘들다는 이유로 정부에서 요금을 잘 올리지 않습니다. (천연가스 매출의 절반 정도가 민수용입니다.) 이 금액은 나중에 천.. 2023. 3. 5. 주식시장에 장기투자 하면 ... 주식하면 항상 돈을 잃는다 ??? 위 그림은 S&P 500 지수의 차트입니다. 40년 동안 매월 $500씩 장기투자를 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10% 이상 손실을 15번이나 경험하게 됩니다. 특히 '08년 금융위기 때는 반 토막이 났겠네요 ㅜㅜ;; 그런데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했다면 지금은 $300만 달러가 되어 있다고 합니다. 달러가 감이 안 오니 환율 1,2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매월 60만 원씩 40년 적립식 투자를 했다면? 투자 원금은 1년에 720만 원이 되고 40년에 2억 8천800만 원이 됩니다. 그 돈이 300만 달러가 되었으니 36억이 된 셈입니다. 결론은 약 2.88억을 투자해서 36억이 되었다고 합니다. 갑자기 한국 시장은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계산해 보았습니다. 우선.. 2023. 2. 27. IFRS 17 : International Financing Reporting Standards 올해부터 우리나라에도 IFRS 17이 도입되었습니다. IFRS는 International Financing Reporting Standards의 약자로 국제회계기준을 말합니다. 각 나라별로 회계기준이 달라서 국가 간 기업을 비교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영국 런던 소재의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라는 곳에서 만들었습니다. 17은 17번째 개정안을 말하고 기존에 우리나라에서는 IFRS 4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IFRS 기준을 2012년부터 전면 적용하였고, 현재는 미국과 일본을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은 자체 회계기준과 병행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사실 두 나라는 자체 기준이 더 엄격한 부분이 있어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거두절미하고 .. 2023. 1. 16. 부동산 시장 (feat. 이광수 위원) 부동산 자료를 보다가 괜찮은 내용이 있어서 정리해 봅니다. 미래에셋증권 이광수 위원 자료입니다. 참고로 이분은 집값이 승승장구하던 시절 집값 거품을 이야기하면서 시장의 미움(?)을 다소 받았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이분의 말처럼 집값 하락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1. 집값이 하락하는 이유는 금리가 상승해서가 아니고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과거 집값이 오르지 않은 상황에서의 금리의 상승은 집값 하락을 동반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내 집을 언제 사야 하나? 금리가 하락한다고 집을 사면 안 됩니다. 가격이 빠진 다음에 사야 합니다. 참고로 IMF 시절은 집값이 3.5년간 하락했고, '08년 금융위기 때는 7년간 하락했습니다. 2. 다음은 주식시장에서도 동일하게 해석되는 거래량이 주는 의미입니.. 2022. 12. 20. 주도주의 변화 그리고 삼성전자와 주도주 과거 주도주가 슈팅 나온 후 어떻게 되었는지 시계열로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문제는 주도주가 폭락하기 전까지는 우주 슈팅의 기운이 모아져서 고평가라는 말을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폭락이 나타나면 그제야 거품이라는 낙인이 찍힙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과거 일본이 그랬고, IT 주식이 그랬고, BRICS도 그랬습니다. 아직 현재 진행형인 FAANG 주식은 과연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거품 구간에서는 항상 매도에 민감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성전자가 주도를 하거나 또는 새로운 주도주가 나타났습니다. 물론 우리나라 주도주들도 (그래프는 안 나와 있지만) 그 후에 모두 폭락을 하면서 밸류에이션은 모두 제자리를 찾아갔습니다. 2022. 12. 12. Grid Parity (그리드 패리티) 1Kwh 당 생산단가는 이미 석탄(유연탄)보다 원자력, 풍력, 태양광이 낮습니다. 하지만 이는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종의 착시(?) 현상입니다. 유럽쪽도 마찬가지 이고요, 보조금 없이도 낮은 단가로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면, 화석연료가 설 자리는 사라질 것입니다. 위 표에 나오는 것처럼 원자력 발전은 가장 생산단가가 낮은 전력원이고 우리나라처럼 기름 한방울 나오지 않는 나라에서, 그리고 에너지 전쟁이 발생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매우 주요한 전력원이 아닐 수 없습니다. 2022. 11. 28. 에너지 ... Energy 러시아가 쏘아올린 에너지 전쟁은 러.우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반 영구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래서 에너지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력의 단위는 W(와트)이고 Wh(와트시)는 1시간 동안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말합니다. 리서치 자료에 많이 보이는 GWh(기가와트시)는 (4인기준) 10만 가구 이상이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입니다. 1GWh = 10억Wh 우리나라는 1년에 약 60만GWh(기가와트시)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약 1.3%씩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1년에 약 8,000GWh 정도 증가한 셈입니다. ※ 1Wh = 1시간 동안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 1TWh(테라와트시) = 1000 GWh(기가와트시) 국가별 신재생 에너지 .. 2022. 10. 25. 이전 1 2 3 4 5 다음